티스토리 뷰

반응형

 

오늘의 주제

벽의 기능과 종류, 시각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벽의 기능

벽은 장식면에서는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곳이며,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나 가장 먼저 고려할 필요는 없고, 전체 디자인의 부분적 요소로 보면 됩니다. 또한 기능면에서 바닥만큼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공간을 둘러싸는 수직적 요소로 수평 방향을 차당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인간의 동선, 공기의 움직임, 소리, 열의 이동을 차당하며, 자연 재해, 타인 등 외부 세계에 대한 침입 방어의 기능을 갖습니다. 

 

벽의 종류

구조에 따라 내력벽, 비내력벽으로 나뉘고, 설치된 위치에 따라 외벽, 내벽으로 나뉩니다. 

 

구조에 따른 벽

내력벽은 상부의 고정 하중을 지지하여 상당한 구조적 강도가 필요합니다. 

비내력벽은 벽 자체의 하중만 지지하여 공간의 흐름을 방해 하지 않습니다. 

 

설치된 위치에 따른 벽

외벽은 외부를 차단하여 열, 소음 등 견디기 위해 내수성, 단열성, 차단성, 내화성, 내파괴성도 요구됩니다. 

내벽은 연속된 주택을 구분하고, 칸막이 벽은 실과 실을 구분하는 것으로 시선의 차당과 차음이 필요합니다. 

 

 

벽의 높이와 시각적 특성

벽은 수직적 요소로 시점을 중심으로 높낮이의 차이에 따라 시각적 특성이 달라집니다. 벽이 시점보다 높으면 공간은 양쪽으로 분할되어 폐쇄성이 나타나고, 시점보다 낮으면 시각적으로 일치되므로 영역과 영역을 구분하는 곳에 주로 사용 됩니다. 

 

1. 상징적 경계

60 cm 정도 높이 벽으로 두 공간을 분리 구분하며 시선이 자연스럽게 통과하므로 영역을 표시하거나 경계를 나타내며 공간 간 서로 통행이 가능합니다. 

 

2. 시각적 개방

가슴 높이인 1.2m 정도 벽을 사이에 두면 두 공간 사이에 통행은 불가능 하지만 시선 높이인 1.5 m보다 낮아서 주변 공간에 시각적인 연속성을 주면서 감싸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개방적입니다. 

 

3. 시각적 차단

키보다 높은 1.8m 정도의 벽으로 시각적으로 완전히 차단 될 수 있어 프라이버시가 좋고, 한 공간의 성격이 생기게 됩니다. 

 

 

벽과 벽 마감의 재료

벽 재료는 나무, 콘크리트, 벽돌, 블록, 돌, 유리가 있습니다. 

내력벽이나 칸막이벽에 사용되는 표면이나 마감 재료는 완성된 실내의 중요한 요소들이 됩니다. 

벽의 마감 종류로는 벽지, 타일, 목재, 페인트, 회반죽, 석재 등이 있습니다. 

 

 

벽 디자인 계획 시 고려사항

1. 디자인 자체가 주는 느낌을 고려해야 합니다. 

2. 벽의 개방감, 빛과 관계도 고려해야합니다. 

3. 질감과 가장 관계가 깊은 소리의 흡수, 반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4. 냉난방을 위한 단열도 중요합니다. 

5. 내구성과 유지 관리도 고려해야합니다. 

 

 

 

지금까지 벽 디자인을 할 때 기초 부분과 고려 사항을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구 계획 및 배치  (0) 2022.07.18
가구의 정의와 기능  (0) 2022.07.14
천장의 기능과 종류 / 개구부  (0) 2022.06.27
실내 디자인의 요소와 조건  (0) 2022.06.25
실내 디자인론과 인테리어 디자이너  (0) 2022.06.24
목재 창호와 알루미늄 창  (0) 2022.06.21
프리텐션  (0) 2022.06.18
PC 콘크리트 구조와 장단점  (0) 2022.06.13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