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의 주제
실내 디자인의 요소와 기능, 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내 디자인의 요소
1차적 요소 (고정적 요소) - 천장, 벽, 바닥, 기둥, 개구부, 통로
2차적 요소 (가동적 요소) - 가구, 조명, 액세서리
3차적 요소 (심미적 요소) - 색채, 질감, 직물, 문양, 형태, 전시
실내 디자인의 요소는 이렇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중 1차적 요소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실내 디자인의 요소 (1차적 요소)는 내부 공간으로 한정하고 구획하고 에워싸는 바닥, 벽, 천정과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가능케 하는 개구부 및 통로 공간 그리고 실내 공간 그 자체입니다. 이 요소들이 다양한 공간 전개로 공간의 성격을 주어 공간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오도록 합니다.
1. 바닥
천장보다도 훨씬 더 중요한 실내 디자인의 요소로 어떤 공간에서도 존재하며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은 바닥과 직접 접촉하며 끊임없이 사용합니다. 공간의 기초로 외부로부터 열과 습기를 차단하고, 사람의 보행과 가구를 놓을 수 있도록 수평면을 제공하며 벽이 없어도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동선을 유도하고, 바닥의 디자인은 물리적, 시각적으로 전체 디자인에 영향을 줍니다.
기본적으로 보행성이 있어야 하고, 단열성, 내화성, 방음성, 내마모성이 있어야 합니다. 바닥의 유지관리, 교체가 쉬워야 합니다.
바닥은 일반적으로 평평하지만 인위적으로 바닥을 높임이거나 기초 구조의 일부로 바닥 높이를 낮춤으로서 여러 가지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단을 높이는 것은 공간의 분리가 될 수 있어 변화와 강조를 줄 수 있습니다.
- 바닥의 종류
목재
:널리 사용되는 바닥재입니다. 가격이 다양하고 선택 폭이 넓고,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며 감촉이 좋습니다. 탄력성, 따듯함, 강도가 있고, 단열 보온성이 큽니다. 부식되고 내화재가 아니므로 뒤틀리고 깨지기 쉽습니다.
석재
:현관, 포치, 테라스 등 실내외에 사용합니다. 내구성, 내후성, 내마찰성, 수명이 길고 견고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소음이 나며 차갑습니다. 석재의 장, 단점인 딱딱함과 차가움을 보완할 수 있는 러그를 석재 바닥과 함께 사용하며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종류로는 벽돌, 점판암, 판석, 대리석, 화강암 등이 있습니다.
콘크리트 : 대부분의 건물 내에서 바닥의 기초적인 구조재로 널리 쓰입니다.
타일
: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바닥 재료로서 타일은 부엌, 욕실, 수영장이나 습기가 상존하는 다른 지역에 사용하면 좋습니다. 방수 효과뿐만 아니라 타일의 단단한 표면 때문에 위생 시설에도 적합하고, 인기 있는 채석 타일 같이 진흙을 구워 만든 타일은 석재와 유사하며, 이 타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단한 바닥으로 된 곳 위에서 마감해야 합니다.
: 다양한 크기와 형태, 색상, 구조로 되어 있는 자기질 타일은 색상과 패턴이 다양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모자이크 타일이라 불리는 매주 작은 타일은 조직 구성면이나 무늬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테라조
: 석재 바닥 표면의 특수 형태로서 시멘트 모르타르와 대리석 조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고, 이렇게 해서 사용한 혼합재는 그라인드로 갈아 닦아서 표면을 부드럽게 합니다. 다양한 색상과 구조 효과도 있습니다.
- 바닥 마감재료
페인트
: 무수히 많은 색상과 무늬를 가진 콘크리트나 목재를 도색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로서 페인트는 가장 빨리 낡으므로 정기적으로 재 도색해야 합니다. 따라서 많은 교통량과 사람 이용이 많은 곳에서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탄성바닥
: 리노륨 아스팔트, 비닐 플라스틱계, 코르크, 고무 등이 있습니다.
카펫
: 연속으로 말아서 만든 바닥 마감재입니다. 공간 전체를 깔 수도 있고, 바닥에서 30cm 정도 남기고 중앙 깔기, 작은 사이즈를 부분 깔기, 전체를 깐 후 그 위에 작은 것을 까는 방법도 있습니다.
: 벨벳, 윌턴, 엑스 민스터, 터프티드 등 다양한 제조 방법이 있습니다.
러그 : 일부분에 카펫을 까는 것을 말합니다.
유용한 정보이길 바랄게요~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구 계획 및 배치 (0) | 2022.07.18 |
---|---|
가구의 정의와 기능 (0) | 2022.07.14 |
천장의 기능과 종류 / 개구부 (0) | 2022.06.27 |
벽의 기능과 종류 및 시각적 특성 (0) | 2022.06.25 |
실내 디자인론과 인테리어 디자이너 (0) | 2022.06.24 |
목재 창호와 알루미늄 창 (0) | 2022.06.21 |
프리텐션 (0) | 2022.06.18 |
PC 콘크리트 구조와 장단점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