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O67Ir/btrEtklXUfz/wGGKJdZtJRykYgJS6QRR2K/img.jpg)
철골구조의 분류 건물의 구조상 중요한 뼈대를 골조라고 하며, 강재로 구조물을 구성한 것을 철골구조 또는 강구조라고 한다. 강재는 재질이 균등하고 인성이 커서 파괴에 이르기까지 변형이 크고 강도가 크므로 단면을 적게 할 수 있어 철근 콘크리트보다 건물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다. 강재는 재질이 균등하고 인성이 커서 파괴에 이르기까지 변형이 크고 강도가 크므로 단면을 적게 할 수 있어 철근콘크리트보다 건물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시공성이 좋아 공기를 단축할 수 있어 큰 간사이 건물이나 초고층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재료상에 의한 분류 보통 형강 구조, H형강 구조, 경량형 강구조, 강관 구조 구조형 식상에 의한 분류 라멘구조, 트러스 구조, 입체구조, 돔 구조, 현수 구조 철골구조의 장점, 단점 장..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H0k1/btrEupzGPul/qHzzKF5NhPojObK9mJWSo1/img.jpg)
아치 틀기 개구부의 상부에는 아치 쌓기나 인방보를 설치하고 하부는 창대 돌을 설치하며 양 옆은 창 선생님 돌을 설치한다. 문 밑에는 문지방 돌을 설치한다. 돌 구조의 아치도 벽돌조와 같이 줄눈이 아치 중심에 모이게 하고 칸 사이가 큰 경우는 뒷면에 인방보를 설치한다. 석재는 벽돌보다 크고 무거우므로 접합부를 튼튼하게 구축해야 하며, 단순한 돌아치는 작은 스팬 때에 사용한다. 개구부 갓 둘레 인방 돌 개구부 상부에 설치하는 수평재로 석재는 휨이나 인장에 약하므로 개구부 폭이 크지 않을 때 사용한다. 개구부가 클 때는 쇠 보나 철근 콘크리트보 등을 설치하여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받게 하고 인방돌은 치장용으로 이용되도록 한다. 창대 돌 창밑에 대러 물흘림과 물 끊기를 처리하는 장식 돌이므로 가능하면 하나의 돌..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pRjkd/btrEupGsNBT/gUSGv4KmWhqPpUiHxZ4G31/img.jpg)
돌쌓기의 종류 돌 쌓기에 사용되는 석재는 자연석, 막돌, 간사와 다듬돌이 있고 거친 돌이 있다. 돌을 쌓는 방법은 조적재 다듬기 정도에 따라 거친 돌 쌓기와 다듬돌 쌓기로 구분되며 쌓기 방법에 따라 바른 층 쌓기와 허튼 층 쌓기가 있으며 시공방법에 의한 종류는 건성 쌓기, 사춤 쌓기가 있다. 와 막 쌓기 (허튼 층 쌓기)에는 거친 돌 막 쌓기, 다듬돌 막 쌓기가 있다. 거친 돌 막 쌓기는 잡석, 간사 들을 적당히 크기로 쪼개어 맞댄면을 불규칙하게 쌓은 것으로 아취감이 나고 중량감이나 견고함과 안전감이 나므로 건원건축이나 담장 등에 사용하며 제면 쌓기라 하기도 한다. 다듬돌 막 쌓기는 다듬돌을 불규칙하게 쌓는 것으로 완자 쌓기라고도 한다. 바른 층 쌓기(성층 쌓기)에는 거친 돌 바른 층 쌓기, 다듬돌 바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z83vt/btrEuy4jn2V/Wxut35tvmx6f5ThVkmg351/img.jpg)
석재의 가공 원석의 절단 공정과 다른 하나는 표면 가공공정으로 나누고, 절단 공전은 부리 쪼갬과 톱켜기에 의하여 원석을 크기에 맞도록 최종 규격화하는 작업이다. 부리 쪼갬은 절리(=돌 결)와 석목에 맞추어 얕고 작은 구멍을 20cm 내외의 간격으로 일렬로 홈을 파서 부리를 처박아 돌을 쪼갠다. 톱켜기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등의 붙임 돌을 톱으로 켜내 계단 디딤돌 또는 외장 붙임 등에 사용할 때가 있다. 이때 철사를 물과 함께 부어 넣으며 톱줄로 켜는데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한다. 철사에는 각철사와 둥근 철사가 있고 각 철사는 화강암과 같은 경질 석재를 켜는데 사용되고 둥근 철사는 연질 석재에 사용되고 대리석은 금강사 및 카보렌덤 가루 등을 사용한다. 표면 마무리 석재의 표면 마무리는 조밀과 형상에 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EDjlp/btrEulRHAiL/Je5753FZqtkyt9Ttn9Rr21/img.jpg)
돌구조 돌을 쌓아 올려 벽체를 만드는 조적식 구조법으로 최근에는 벽체를 석재로만 쌓은 일은 거의 없으며 건축용 석재는 대부분 벽돌조나 블록조 등 창문 갓 둘레나 외부 계단 등 특수 부분이나 내부에 장식적인 효과를 내기 위하여 국부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석재는 외관이 장중하고 미려하며 내화, 내풍, 내구적이므로 구조재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장대재를 얻기 어렵고 가공이 힘들어 비교적 고가이며 채석량 부족으로 특수한 건축물에만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석재 가공기술이 발달되어 엷은 판석까지도 정밀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구조재로 사용되기보다 주로 외장재 등 2차 부재로 사용되고 있다. 장점으로는 내구적이며, 내수, 내마모성, 내약품성이 풍부하고, 외관이 장주하고 미려하며, 방한, 방서적이고 양질의 석재가 풍..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q69P/btrEtuIGyXV/VkwcSsyiq392kFgXU6xFuk/img.jpg)
보강 블록 구조의 벽체 보강 블록조는 벽체가 내린 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 내력은 블록의 강도에 다라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블록의 구멍을 통해 철근을 배근하여 강한 벽체로 만든 구조를 보강 블록 구조라고 하며 배근된 블록의 구멍에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채워 철근을 보호하여야 한다. 벽체의 길이는 벽의 끝모서리에서 끝 모서리, 칸막이 벽, 부축 벽, 붙임 기둥 등 중심 간의 거리를 말하며 이것을 지지점 거리라고도 한다. 내린 벽으로 간주되는 실제 벽 길이는 55cm 이상, 10m 이하로 하고 그 양측의 개구부의 높이의 30% 이상 되어야 한다. 벽 길이의 합계는 그 벽 길이의 1/2 이상으로 하고 조적조의 내린 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 면적은 80㎡ 이하로 하여야 한다. 보강 블록조 내린 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