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임산부들이 임신을 하면 바로 찾아보는 것이 아마 출산지원금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이가 태어나면 들어가야 하는 돈이 많기때문에 조금이라도 가계에 도움이 된다면 얼른 알아봐야겠죠? 올해 아이를 출산한다면 얼마나 받는지, 2024년에 출산하면 얼마나 받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과 2024 출산지원 바우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지원 내용

임신 및 출산한 건강보헙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이용권 사용기간

시작일은 이용권 발급일, 종료일은 출산 전 신청한 경우 분만 예정일로부터 2년, 출산 후 신청한 경우는 출산일(유산, 사신일) 로부터 2년입니다. 

 

지금금액

2023년 2024년
임신 1회당
단태아 100만원
다태아 140만원
* 분만 취약자 20만원 추가 지원
임신 1회당
단태아 100만원
쌍둥이 200만원 / 세쌍둥이 300만원 / 네쌍둥이 400만원

 

* 국민행복카드 발급 후 카드사 홈페이지, 앱, 고객센터를 통해 신청 할 수 있습니다. 

 

 

 

 

첫 만남 이용권

지원내용

출생 아동에게 첫만남이용권을 지급하여 생애초기 아동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해주기 위한 지원입니다. 

 

지원대상

2022년 1월 2일 이후 출생아로서 출생신고되어 주민등록부여받은 아동

 

지원금액

2023년 2024년
아이 1명당 200만원 첫째 200만원
둘째 이상 300만원

 

* 국민행복카드 발급 후 카드사 홈페이지, 앱, 고객센터를 통해 신청 할 수 있습니다. 

 

 

 

부모급여

지원내용

현금 또는 바우처(보육료 또는 종일제돌봄)로 지급되며, 어린이집 이용시  종일제 아이돌봄으로 신청 필요합니다. 

 

지원대상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0~1세 아동

 

지원금액

2023년 2024년
0개월~11개월 : 월 70만원
12개월~23개월 : 월 35만원
0개월~11개월 : 월 100만원
12개월~23개월 : 월 50만원

 

 

 

 

 

 

 

 

기타 출산혜택 : 기저귀, 조제 분유 지원사업, 에너지 바우처

기저귀, 조제 분유 지원사업은 영아(0~24개월)을 양육하고 있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와 제조 분유를 지원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서비스입니다.  

 

에너지바우처는 전기요금 할인 대상자 확인 및 할인 신청방법은 <한전 사이버 지점>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신청 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아이 한 명 키우기 위해 큰 돈이 들어가는 건 어쩔 수 없는 현실인데, 이렇게라도 지원을 해주니까 조금은 마음을 덜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위에 소개해드린 내용외에도 지원하는 게 많고, 살고 있는 지역에 따라 추가 지원되니 부분도 있으니 꼼꼼하게 살피셔서 정부 지원금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